맨드리바 리눅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드리바 리눅스는 가엘 듀발이 개발하고 사용 편의성을 강조한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8년 레드햇 리눅스 5.1과 KDE 1을 기반으로 '리눅스 맨드레이크'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맨드레이크 리눅스', '맨드라케리눅스'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2005년 브라질의 커넥티바를 인수하면서 '맨드리바 리눅스'로 변경되었다. 2010년에는 Mageia와 OpenMandriva Lx로 포크되었고, 2015년 개발이 종료되었다. 맨드리바 리눅스는 drakconf를 통한 시스템 설정, urpmi 패키지 관리 시스템, KDE 및 GNOME 데스크톱 환경 지원 등의 특징을 가졌으며, 다양한 에디션과 파생 배포판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RM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ARM 리눅스 배포판 - 젠투 리눅스
젠투 리눅스는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개발된 소스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이며, 포티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높은 사용자 정의와 유연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 RPM 기반 리눅스 배포판 - 수세 리눅스
수세 리눅스는 독일에서 시작된 수세(SUSE)가 개발 및 배포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며, openSUSE와 SUSE Linux Enterprise를 주요 제품으로 제공한다. - RPM 기반 리눅스 배포판 - 사이언티픽 리눅스
사이언티픽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기반으로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시작되어 CERN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RHEL과의 높은 호환성을 유지했지만, 2019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 X86-64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X86-64 리눅스 배포판 - 아치 리눅스
아치 리눅스는 2002년에 시작된 x86-64 마이크로프로세서용 리눅스 배포판으로, 단순성을 추구하며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을 설정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고, 롤링 릴리스 방식과 팩맨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며, AUR을 통해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맨드리바 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개발사 | Mandriva |
계열 | Linux (Unix-like) |
작동 상태 | 개발 중단 |
최초 출시일 | 1998년 7월 23일 |
언어 | 다국어 |
사용자 영역 | GNU |
사용자 인터페이스 | KDE Plasma Desktop (공식) |
라이선스 |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추가적으로 독점 바이너리 블롭 포함 |
웹사이트 | https://web.archive.org/web/20150523021945/http://www.mandriva.com/en/products-services/mbs/technical-specifications/%7C아카이브 |
소스 모델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예외 존재) |
패키지 관리자 | urpmi (명령줄 인터페이스) rpmdrake (GTK 인터페이스) .rpm (패키지 형식) |
업데이트 모델 | 장기 지원 |
최신 버전 | 2011 |
최신 출시일 | 2011년 8월 29일 |
커널 종류 | 모놀리식 (Linux) |
지원 플랫폼 | amd64 i686 i586 i486 i386 sparc64 ppc64 MIPS arm ia64 Xbox |
추가 정보 | |
라이선스 | GPL 및 기타 라이선스 |
2. 역사
1998년 가엘 듀발(Gaël Duval)이 레드햇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리눅스 배포판이다. 초기에는 "리눅스 맨드레이크(Linux-Mandrake)"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하여 "설치가 가장 쉽고 사용자 친화적인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라는 명성을 얻었다.[5]
1998년 7월 23일 Linux Mandrake 5.1 (Venice) 출시를 시작으로, 8.0 버전까지는 '''리눅스 맨드레이크'''(Linux Mandrake)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8.1 버전부터 9.2 버전까지는 '''맨드레이크 리눅스'''(Mandrake Linux)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4년 허스트 코퍼레이션(Hearst Corporation)과의 상표권 분쟁에서 패소한 후, 10.0 버전부터는 "맨드라케리눅스(Mandrakelinux)"로 이름을 변경했다.[8] 2005년에는 브라질의 리눅스 배포판 제작 업체 코넥티바(Conectiva)를 인수하고, 회사명과 제품명을 "맨드리바(Mandriva)"와 "맨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로 변경했다.[8]
맨드리바 리눅스는 GNOME, KDE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을 지원했으며, 특히 KDE를 표준으로 채택하여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했다. 2011년에는 KDE만 지원하게 되었다.
2010년 9월, 맨드리바 리눅스의 주요 개발자 및 커뮤니티는 Mandriva Linux에서 독립하여 Mageia라는 포크를 시작했다. 맨드리바 리눅스의 프리 버전은 OpenMandriva Lx로 포크되어, OpenMandriva Association으로 이관되었다.
2015년 Mandriva사가 도산하면서 맨드리바 리눅스의 개발은 사실상 종료되었다.[47]
출시일 | 출시명 (코드명 또는 정식명) |
---|---|
1998년 7월 23일 | Linux Mandrake 5.1 (Venice) |
1998년 12월 1일 | Linux Mandrake 5.2 (Leeloo) |
1999년 2월 11일 | Linux Mandrake 5.3 (Festen) |
1999년 5월 27일 | Linux Mandrake 6.0 (Venus) |
1999년 9월 14일 | Linux Mandrake 6.1 (Helios) |
2000년 1월 14일 | Linux Mandrake 7.0 (Air) |
2000년 6월 13일 | Linux Mandrake 7.1 (Helium) |
2000년 10월 30일 | Linux Mandrake 7.2 (Odyssey) |
2001년 4월 19일 | Linux Mandrake 8.0 (Traktopel) |
2001년 10월 22일 | Mandrake Linux 8.1 (Vitamin) |
2002년 3월 18일 | Mandrake Linux 8.2 (Bluebird) |
2002년 11월 7일 | Mandrake Linux 9.0 (Dolphin) |
2003년 3월 25일 | Mandrake Linux 9.1 (Bamboo) |
2003년 10월 14일 | Mandrake Linux 9.2 (FiveStar) |
2004년 3월 4일 | Mandrakelinux 10.0 (10.0 Community) |
2004년 4월 14일 | Mandrakelinux 10.0 (10.0 Official) |
2004년 9월 16일 | Mandrakelinux 10.1 (10.1 Community) |
2004년 10월 27일 | Mandrakelinux 10.1 (10.1 Official) |
2005년 4월 7일 | Mandriva Linux로 명칭 변경 |
2005년 4월 13일 | Mandriva Linux Limited Edition 2005 (10.2 Official) |
2005년 10월 6일 | Mandriva Linux 2006 (2006 Official) |
2005년 11월 14일 | Mandriva Linux 2006 Free Download Edition |
2006년 10월 4일 | Mandriva Linux 2007 (2007 Official) Commercial Edition |
2006년 10월 5일 | Mandriva Linux 2007 Free Download Edition |
2007년 4월 17일 | Mandriva Linux 2007 Spring (2007.1 Official) |
2007년 10월 9일 | Mandriva Linux 2008 (2008.0 Official) |
2008년 4월 9일 | Mandriva Linux 2008 Spring (2008.1 Official) |
2008년 10월 9일 | Mandriva Linux 2009 (2009.0 Official) |
2009년 4월 29일 | Mandriva Linux 2009 Spring (2009.1 Official) |
2009년 11월 3일 | Mandriva Linux 2010 (2010.0 Official) |
2010년 7월 8일 | Mandriva Linux 2010 Spring (2010.1 Official) |
2010년 12월 22일 | Mandriva Linux 2010.2 (2010.2 Official) |
2011년 8월 29일 | Mandriva Linux 2011 (2011 Official) |
2. 1. 한국에서의 맨드리바 리눅스
2007년 인텔사의 교육용 넷북인 클라스메이트 PC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와 맨드리바의 디스커버리가 탑재되었다. 2008년에는 오픈오피스를 포함하여 메타냅 맨드리바 리눅스 데스크톱 서버라는 명칭으로 GS인증을 받았다. 2010년에는 메타냅 맨드리바 리눅스 서버 V5, 메타냅 맨드리바 리눅스 데스크톱 V2.6이 행정안전부의 행정업무용 소프트웨어 인증을 받았다.2007년 우정사업본부 인터넷프라자 리눅스 PC 아래아한글 '끼워구매' 논란, 2008년 중복 투찰 공정위 제소 및 행정심판, 2009년 디지털교과서용 리눅스사업 관련 경쟁 차단, 담합, 문서 서식 및 특정 태블릿 HW Tivoization 제소 등 분쟁이 있었다.
언어 환경 선택에 있어서 맞춤법과 코드 체계가 다른 북한 한글 환경에 대한 선택도 제공한다. 맨드리바 리눅스 초기에 한글 용어의 많은 부분을 프랑스에 사는 교포 여성이 제공했다.
3. 특징
맨드리바 리눅스는 1998년 7월 레드햇 리눅스 5.1 버전과 K Desktop Environment 1을 기반으로 처음 출시되었다.[5] 이후 레드햇에서 벗어나 자체적인 설계 및 구현 방식을 따르면서 완전히 독립적인 배포판이 되었다. 맨드리바 리눅스는 시스템 구성을 쉽게 만드는 여러 독창적인 도구들을 포함했는데, 이는 새로운 사용자들이 리눅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했던 가엘 뒤발의 아이디어였다.[6]
이러한 노력으로 맨드리바 리눅스는 "설치가 가장 쉽고 사용자 친화적인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라는 명성을 얻었다.[7] CNET은 맨드리바 리눅스 8.0의 사용자 경험을 당시 가장 잘 다듬어진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다.[7] 또한 듀얼 부팅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로 들어가지 않고도 사용자가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칭찬받았다.[6]
펜티엄 클래스 이상의 CPU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었다. 2010.2까지 GNOME과 KDE를 표준 데스크톱 환경으로 지원했으며, 설치 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었다. Xfce도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2011년부터는 KDE만 지원하게 되었다.[9] Live CD 버전인 Mandriva One에는 GNOME 버전과 KDE 버전이 있었다.
3. 1. 설치 및 관리
맨드리바 리눅스는 만드리바 제어 센터를 통해 시스템 설정을 쉽게 구성할 수 있었다.[5] drakxtools (드레이크 또는 드라크)라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공했는데, MouseDrake는 마우스 설정을, DiskDrake는 디스크 파티션 설정을, drakconnect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지원했다.[6][7] 이들은 GTK+와 Perl을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대부분 ncurse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그래픽 모드와 텍스트 모드 모두에서 실행할 수 있었다.3. 2. 패키지 관리 시스템
맨드리바 리눅스는 urpmi라는 고유의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했는데, 이는 .rpm 바이너리에 대한 래퍼 역할을 한다. 데비안 및 우분투의 apt, 아치 리눅스의 pacman, 페도라의 yum 또는 dnf와 유사하게, 필요한 다른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여 주어진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48] urpmi는 네트워크/인터넷, CD/DVD 및 로컬 디스크 등 다양한 매체에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어 매체 투명성을 제공한다.urpmi는 "User mode rpm install"의 약자로, 패키지 간의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해결하면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49] 그래픽 프론트엔드로 gurpmi가 존재한다.
만드리바 제어 센터에 통합된 rpmdrake라는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 프론트엔드도 제공되었다. 실질적인 내부 처리는 urpmi가 담당한다.
또한 데스크톱 패널의 아이콘을 통해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2007 Spring 버전부터는 Mandriva Club 회원이 아니어도 이 기능을 통해 자동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되었다.[50]
Smart 패키지 관리자는 브라질의 Conectiva사 기술자 구스타보 니에마이어(Gustavo Niemeyer)가 개발한 도구이다.[51] Conectiva사가 Mandriva사에 흡수 합병되면서, Smart는 Mandriva Linux에서도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전용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Mandriva Linux 외에도 많은 Linux 배포판에서 배포되었다.
3. 3. 데스크톱 환경
펜티엄 클래스 이상의 CPU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었다. 2010.2까지 GNOME과 KDE를 표준 데스크톱 환경으로 지원했으며, 설치 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었다. Xfce도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2011년부터는 KDE만 지원하게 되었다.[9]
Live CD 버전인 Mandriva One에는 GNOME 버전과 KDE 버전이 있었다.
4. 버전
가엘 뒤발은 1998년 7월 레드햇 리눅스 5.1과 KDE 1.0을 기반으로 Linux Mandrake 5.1 (베니스)를 출시했다.[5] 이후 자체적인 설계 및 구현을 통해 레드햇에서 독립적인 배포판이 되었다. 맨드리바 리눅스는 시스템 구성을 쉽게 만들어주는 여러 도구를 포함하여 "설치가 가장 쉽고 사용자 친화적인 Linux 배포판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았다.[6]
처음에는 리눅스-맨드레이크(Linux-Mandrake)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나, 8.1 버전부터 맨드레이크 리눅스(Mandrake Linux)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04년 허스트 코퍼레이션과의 상표권 분쟁으로 인해 10.0 버전부터는 mandrakelinux로, 라이브 CD 버전은 Mandrakemove로 변경되었다. 2005년 브라질 회사 커넥티바를 인수하면서 회사 이름을 만드리바(Mandriva)로 변경하고, 배포판 이름도 만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로 변경하였다.[8]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우분투나 페도라처럼 6개월 주기로 정기적인 릴리즈를 진행했다. 최신 안정 버전은 2011년 8월 28일에 출시된 맨드리바 리눅스 2011 ("수소")이다.[11]
4. 1. 버전 목록
버전 번호 | 코드명 | 출시년도 | 주요 기능 |
---|---|---|---|
5.1 | 베니스(Venice) | 1998년 | 레드햇 리눅스 기반 첫 릴리스; KDE 1.0 |
5.2 | 릴루(Leeloo) | 1998년 | |
5.3 | 페스텐(Festen) | 1999년 | KDE 1.1; 커널 2.0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 |
6.0 | 비너스(Venus) | 1999년 | 커널 2.2.9; GNOME 1.0.9 |
6.1 | 헬리오스(Helios) | 1999년 | |
7.0 | 에어(Air) | 2000년 | 드라크스툴(drakxtools) 1.0 및 urpmi 0.9 포함 (이후 맨드레이크/만드리바 기반 배포판 주요 기능) |
7.1 | 헬륨(Helium) | 2000년 | KDE 1.1.x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 |
7.2 | 오디세이(Odyssey) | 2000년 | KDE 2.0; 커널 2.2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53] |
8.0 | 트락토펠(Traktopel) | 2001년 | 커널 2.4.3; KDE 2.1.1 |
8.1 | 비타민(Vitamin) | 2001년 | KDE 2.2.1 |
8.2 | 블루버드(Bluebird) | 2002년 | KDE 2.2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 |
9.0 | 돌핀(Dolphin) | 2002년 | KDE 3.0.3; OpenOffice.org 1.0.1; GNOME 2.0.2[15] |
9.1 | 뱀부(Bamboo) | 2003년 | "갤럭시(Galaxy)" 테마 도입; KDE 3.1[16][17][18] |
9.2 | 파이브스타(FiveStar) | 2003년 | 커널 2.4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 |
10.0 | Community and Official | 2004년 | 커널 2.6.3; KDE 3.2.0; XFree86 4.3 마지막 릴리스[19][20][21][22] |
10.1 | Community | 2004년 | X11 r6.7.0이 XFree86 대체; scim 통합 i18n 입력 방식 플랫폼[23] |
10.1 | Official | 2004년 | |
10.2 | Limited Edition 2005 | 2005년 | KDE 3.3.2; "Mandrake" 브랜드 제거[24] |
2006.0 | Mandriva Linux 2006 | 2005년 | KDE 3.4.2; 맨드리바(Mandriva) 브랜딩 첫 사용; Conectiva 업그레이드 지원; "Galaxy" 테마 마지막[25][26][27][28] |
2007 | Mandriva Linux 2007 | 2006년 | KDE 3.5; 새로운 테마 "la Ora"; Rpmdrake 패키지 관리 UI 재설계; X.org 서버 1.1.1 |
2007.1 | Mandriva Linux 2007 Spring | 2007년 | [29][30] |
2008.0 | Mandriva Linux 2008 | 2007년 | [31][32][33] |
2008.1 | Mandriva Linux 2008 Spring | 2008년 | KDE 3.5 시리즈 마지막 릴리스[34] |
2009.0 | Mandriva Linux 2009 | 2008년 | DrakX 설치 프로그램 재설계; KDE 4.1.2[35][36] |
2009.1 | Mandriva Linux 2009 Spring | 2009년 | [37][38] |
2010.0 | Mandriva Linux 2010 | 2009년 | [39][40][41] |
2010.1 | Mandriva Linux 2010 Spring | 2010년 | |
2010.2 | Mandriva Linux 2010.2 | 2010년 | Ia Ora 테마 마지막 릴리스 |
2011.0 | Hydrogen | 2011년 | rpm5.org fork 사용; Rosalab 사용자 정의 KDE 데스크톱[11][42][43][44] |
5. 에디션
맨드리바 리눅스는 여러 에디션으로 나뉘어 출시되었다. 각 에디션은 동일한 마스터 트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종류와 라이선스, 대상 사용자층에 차이가 있었다.
- Mandriva Linux Free: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된 무료 배포판이다.[45] x86 32비트 및 64비트 CPU 아키텍처용 CD 및 DVD 에디션으로 제공되었다.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용자나 전통적인 설치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다. 2011년에 단일 에디션 접근 방식을 선호하여 단계적으로 중단되었다.[9]
- Mandriva Linux One: 라이브 CD이자 설치 프로그램인 무료 하이브리드 배포판이었다. 사용자는 다양한 언어와 데스크톱 환경(KDE, GNOME)을 선택할 수 있었고, 비자유 소프트웨어 포함 여부도 선택 가능했다.
- -
- Mandriva Linux Powerpack: 주요 상용 에디션으로, 비자유 드라이버, 펌웨어, 플러그인, 상업용 소프트웨어(세데가, Adobe Reader, RealPlayer 등)를 포함했다. 유료로 판매되었으며, 구독 서비스를 통해 이전 버전의 파워팩 에디션을 무제한 다운로드할 수도 있었다. 2008년에는 Discovery 에디션과 통합되어 Mandriva의 유일한 상업 제품이 되었다.
- Mandriva Linux Discovery: 리눅스 초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용 배포판이었다. 초보 사용자에게 친숙한 테마와 단순화된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했다. 2008년에는 Powerpack 에디션에 초보자 친화적인 기능이 추가되면서 별도로 출시되지 않았다.
- Mandriva Linux Powerpack+: Powerpack 에디션에 상업용 소프트웨어 등 추가 패키지를 더한 버전이었다. 소규모 사무실/홈 오피스(SOHO)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서버 패키지를 포함하여 서버 시스템 운영에도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2008년부터는 Powerpack 에디션에 모든 패키지가 포함되면서 별도로 출시되지 않았다.
6. 파생 배포판
- OpenMandriva Lx -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맨드리바의 후속 배포판이다.
- Mageia - 해고된 전직 개발자들이 만든 맨드리바의 포크이다. 2010년 9월, 주요 개발자와 커뮤니티가 Mandriva Linux에서 독립하여 만들었다.
- PCLinuxOS - 초기에는 맨드레이크에서 파생되었으며, 데스크톱 지향적인 배포판이다. 주요 개발자였던 Texstar가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었다.
- Unity Linux - 만드리바 리눅스 파생 배포판이다.
- ROSA Linux - 해고된 전직 개발자들이 만든 맨드리바의 포크이다.
배포판 | 설명 |
---|---|
Mageia | 만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를 모체로 개발. 오픈 소스. |
OpenMandriva Lx | 만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 파생. |
Unity Linux | 만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 파생. |
PCLinuxOS | 만드리바 리눅스(Mandriva Linux)를 기반으로 개발. 데스크톱 지향. 라이브 CD로도 사용 가능. |
참조
[1]
웹사이트
Explaining Why We Don't Endorse Other Systems
https://www.gnu.org/[...]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03
[2]
웹사이트
Mandriva products lifetime policy
http://www2.mandriva[...]
Mandriva
2013-03-01
[3]
웹사이트
The Elegant Mageia Linux Prepares a New Release | Linux.com
http://www.linux.com[...]
2014-11-09
[4]
웹사이트
Mandriva SA official blog: Mandriva Linux will return to the community
http://blog.mandriva[...]
[[Mandriva]]
2012-05-17
[5]
뉴스
Review: Mandrake Linux 9.0
http://www.extremete[...]
2002-10-21
[6]
웹사이트
Mandrake Linux 9.0, Desktop Magic You Can Use: A First Look
http://www.mozillaqu[...]
[7]
웹사이트
Linux Mandrake 8.0 Standard
http://www.cnet.com/[...]
[8]
웹사이트
Behind the New Mandriva
http://linuxplanet.c[...]
linuxplanet.com
2008-03-01
[9]
웹사이트
2011.0 Tour - Mandriva Community Wiki
http://archive.openm[...]
2016-11-20
[10]
웹사이트
UNetbootin – Universal Netboot In
http://unetbootin.so[...]
[[SourceForge.net]]
2013-03-01
[11]
웹사이트
Mandriva 2011 "Hydrogen" is out!
http://blog.mandriva[...]
blog.mandriva.com
2013-03-01
[12]
웹사이트
Development – Mandriva Community Wiki
http://wiki.mandriva[...]
wiki.mandriva.com
2008-03-01
[13]
웹사이트
Mandriva Release Overview – Mandriva Community Wiki
http://wiki.mandriva[...]
2012-11-25
[14]
웹사이트
Releases - Mandriva Community Wiki
http://archive.openm[...]
2018-05-04
[15]
웹사이트
Linux Mandrake 9.0-Dolphin: The Review
http://www.osnews.co[...]
2024-11-19
[16]
웹사이트
World Exclusive: Mandrake Linux 9.1 Review
http://www.osnews.co[...]
2024-11-19
[17]
웹사이트
Opinions and facts
https://distrowatch.[...]
2024-11-19
[18]
웹사이트
The Hardware
https://distrowatch.[...]
2024-11-19
[19]
웹사이트
Mandrake Linux 10 Community Edition: The Potential is Now Obvious
http://www.osnews.co[...]
2024-11-19
[20]
웹사이트
Mandrake 10: A Long Time User's Experiences
http://www.osnews.co[...]
2024-11-19
[21]
웹사이트
Quick Review: Mandrake 10.0 Official
http://www.osnews.co[...]
2024-11-19
[22]
웹사이트
OSNews is Exploring the Future of Computing
http://www.osnews.co[...]
2018-07-28
[23]
웹사이트
Mandrakelinux 10.1 on AMD64
https://lwn.net/Arti[...]
2005-01-05
[24]
웹사이트
411 on 2005
http://www.tuxmachin[...]
2005-04-17
[25]
웹사이트
Mandriva 2006 Final Look
http://www.tuxmachin[...]
2005-10-14
[26]
웹사이트
Mandriva Linux 2006.1-0.3
http://www.tuxmachin[...]
2005-12-28
[27]
웹사이트
Mandriva One - a livecd attempt
http://www.tuxmachin[...]
2006-02-26
[28]
웹사이트
MandrivaOne - a livecd
http://www.tuxmachin[...]
2006-03-03
[29]
웹사이트
Kicking the tires of Mandriva 2007.1 beta 2
http://www.tuxmachin[...]
2007-03-04
[30]
뉴스
Mandriva Spring - Beautiful Change of Season
https://distrowatch.[...]
2007-04-30
[31]
웹사이트
Review: Mandriva Linux PowerPack 2008.0
http://www.osnews.co[...]
2007-10-11
[32]
뉴스
A look at Mandriva Linux 2008
https://distrowatch.[...]
2007-10-22
[33]
웹사이트
Mandriva's Linux on a stick will wow all the ladies this Summer
https://www.theregis[...]
2008-06-20
[34]
웹사이트
Mandriva Linux 2008 Spring released
http://blog.mandriva[...]
2008-04-09
[35]
웹사이트
Mandriva Linux Powerpack 2009 Review
http://linuxbsdos.co[...]
2018-07-28
[36]
웹사이트
Mandriva 2009 - Quite all right, but could be better
https://www.dedoimed[...]
2009-02-28
[37]
웹사이트
Celebrate Spring with Mandriva Linux 2009 Spring
https://web.archive.[...]
2009-04-29
[38]
뉴스
First look at Mandriva Linux 2009.1
https://distrowatch.[...]
2009-05-25
[39]
뉴스
First look at Mandriva Linux 2010
https://distrowatch.[...]
2009-11-09
[40]
웹사이트
Mandriva 2010
https://lwn.net/Arti[...]
2009-11-11
[41]
웹사이트
Mandriva 2010 - I mean ... Wow!
https://www.dedoimed[...]
2009-11-27
[42]
뉴스
First look at Mandriva Linux 2011
https://distrowatch.[...]
2011-08-29
[43]
웹사이트
Mandriva Desktop 2011 review
http://www.linuxbsdo[...]
2011-09-01
[44]
웹사이트
Mandriva 2011.0 - Supreme start, unhappy ending
https://www.dedoimed[...]
2011-10-19
[45]
웹사이트
Free Software / Open Source Software
http://www.mandriva.[...]
mandriva.com
2008-03-01
[46]
문서
2007年からは 仮想デスクトップソフトウェア [[:en:Ulteo|Ulteo]] のCEOを務めている
[47]
뉴스
かつて人気を誇った「Mandriva Linux」、開発母体が倒産
http://japan.zdnet.c[...]
ZDNet Japan
2015-05-28
[48]
문서
http://wiki.mandriva[...]
[49]
문서
http://wiki.mandriva[...]
[50]
문서
https://www.mandriva[...]
[51]
문서
http://labix.org/sma[...]
[52]
웹사이트
Mandriva Linux lifetime policy
http://www2.mandriva[...]
[53]
문서
베타버전에서는 Ulysses로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